안녕하세요 베이비엔젤입니다
오늘은 유아의 언어발달 폭발기 시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아의 언어 발달이 가장 폭발적으로
일어나는 시기는 만 2세~4세입니다.
이 시기는 아이가 알게되는 단어 수가 급격히 늘고,
문장 구조를 이해하며, 의사소통 능력을
발달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

1) 만 2세:
-> 약 50~300개의 단어를 사용
-> “엄마 밥 줘” 와 같은 2~3단어로 된
간단한 문장을 말하기 시작
-> 주변 사물과 사람을 지칭하는 명사 중심의 언어 사용
2) 만 3세:
-> 약 900~1,000개의 단어 사용합
-> 4~5단어로 된 문장을 구사하며 문법이 발달
-> “왜?”, “어떻게?” 같은 질문을 많이 함
(질문 폭발기)
-> 과거와 미래 개념을 이해하기 시작
3) 만 4세:
-> 약 1,500~2,000개 이상의 단어 사용
-> 복잡한 문장과 문법을 활용하여 이야기 구성 가능
-> 감정, 원인과 결과, 의견 표현 가능
-> 유창하게 의사소통하며 친구들과 상호작용 증가

언어 폭발기의 특징
단어 습득 속도 증가:
하루 평균 5~10개의 단어 학습
문장 길이와 복잡성 증가:
접속사(그리고, 그래서) 사용 시작
사회적 언어 사용 증가:
친구들과 놀이하면서 언어 활용 능력 향상
창의적 표현 발달:
이야기를 스스로 만들어내고 상상력을 발휘

언어 폭발기에
부모가 지원할 수 있는 방법
1) 일상 속에서 대화 많이 하기
(확장된 언어 입력 제공)
부모와의 대화는 유아 언어 발달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칩니다.
단순히 질문에 대답하는 것이 아니라,
확장된 언어 입력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트와 리슬리(Hart & Risley)의
연구(1995)에 따르면,
부모가 아이와 대화하는 양과 질이
많을수록 아이의 어휘력이 높아졌으며,
이러한 언어 환경이 학령기 이후까지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되었습니다.
💡 구체적인 방법
-> 아이가 "엄마, 공놀이!"라고 하면 →
"그래, 너는 지금 공놀이를 하고 있구나!
어떤 공으로 놀고 있어?"처럼 문장을 확장해주세요
->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도록 유도
("지금 기분이 어때? 기뻐? 속상해?")
-> 아이의 관심을 반영하여 대화 주제 설정
2) 책 읽기 습관 들이기 (대화형 읽기 방법 활용)
독서는 언어 발달을 촉진하는
최고의 방법 중 하나입니다.
단순히 책을 읽어주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책 속 내용을 능동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대화형 읽기' 기법을 활용하면 좋습니다
화이트허스트(Whitehurst) 등의 연구(1988)에서는
대화형 읽기를 적용한 유아들이 일반적인 책 읽기를 한 유아보다 더 높은 어휘력과
문장 이해력을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 구체적인 방법
-> 그림을 보고 "이건 뭐야?"라고 묻거나,
아이가 문장을 완성하도록 유도해주세요
-> 이야기를 읽고 "다음엔 무슨 일이 일어날까?"
라고 예측하게 해보세요.
등장인물의 감정이나 행동에 대해
질문하여 사고력 확장시켜주세요

3) 노래, 동요, 리듬 활동 활용하기
노래와 동요는 반복적인 패턴과 운율을 통해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언어 구조를
익히는 데 도움이 됩니다.
연구에 따르면, 리듬과 음악을 활용한
언어 학습은 기억력을 강화하고,
언어 발달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고 증명되었습니다 (Brandt et al., 2012).
💡 구체적인 방법
-> 동요를 부를 때 제스처와
함께 따라 하도록 유도해주세요
-> 의성어, 의태어가 포함된 동요를
선택하여 표현력 발달시켜주세요
-> 새로운 단어가 포함된 노래를
반복적으로 들려주어 어휘 확장시켜줍니다
4) 놀이를 통한 언어 확장 (역할 놀이, 인형극 등)
놀이를 통해 아이들은 다양한 상황을 가정하고,
새로운 단어와 문장을 익힐 수 있습니다.
피아제(Piaget)는 유아기의 가상 놀이가
언어 및 사회적 기술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구체적인 방법
-> 역할놀이:
"우리는 지금 병원이야. 나는 의사고,
너는 환자야. 어디가 아픈가요?"
-> 인형극:
손가락 인형을 활용하여 이야기 만들기 놀이를 해보세요
-> 상황극:
마트 놀이, 주방 놀이 등을 하며
관련된 단어 익힐 수 있어요

5) 아이의 말에 적극적으로 반응하고 기다려주기
아이들은 언어를 배울 때 시간이 필요하며,
부모가 기다려주고 반응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언어 습득 이론에서 브루너는 부모가 제공하는
언어적 상호작용이 아이의 언어 습득을 촉진하는
언어 습득 지원 체계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 구체적인 방법
->아이가 말하려고 할 때 재촉하지 않고 기다려주세요
-> 말실수를 하더라도 교정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올바른 표현을 반복하여 들려주세요
-> 아이의 관심을 존중하며 반응을 보여주세요
("그게 궁금했구나! 정말 재미있는 생각이야!")

만2세부터 4세까지는 언어 발달이 폭발적으로
일어나는 시기로 부모의 적극적인
지원이 아이의 언어능력에
지대한 영향을 주게되니 아이의 언어 발달을 위하여
부모님의 노력이 꼭 필요하답니다.
✅ 일상 속에서 대화를 확장하기
✅ 대화형 독서 방법을 활용하여 책 읽어주기
✅ 노래와 리듬을 활용하여 재미있게 학습하기
✅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언어 확장하기
✅ 아이의 말을 기다려주고 적극적으로 반응하기
이 시기에 부모가 적극적으로
대화, 책 읽기, 놀이, 노래 등을 통해
언어 자극을 많이 제공하면
아이의 언어 능력이 더욱 발달할 수 있습니다.
'만3세-4세 엄마아빠 > 만3-4세 발달과정 &육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 3세 고집이 시작되는 나이, 어떻게 훈육하면 될까요? (0) | 2025.02.28 |
---|---|
만 4세 언어 폭발기: 부모의 지원 방법 5가지 (0) | 2025.02.23 |
유아교육 전문가가 알려주는 만4세 발달과정 (1) | 2025.02.21 |
유아교육 전문가가 알려주는 만 3세 영역별 발달과정 (2)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