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H 수치는 항뮐러관 호르몬의 혈중 농도를 말하며,
주로 여성의 난소 기능, 즉 난소 예비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2024년까지는 결혼/사실혼이 증명되어야지
산전검사비 를 지원해줬는제 2025년부터는
20~49세 가임력 검사 희망자 모두에게
AMH 검사를 지원해준다고 합니다
*여성 지원 검사항목 :
난소기능검사(AMH), 부인과초음파- 최대 13만원
*남성 지원 검사항목:
정액검사 (정자정밀형태검사)- 최대 5만
AMH 검사란?
AMH 검사는 쉽게 말하면 여성의 난소에
남아 있는 난자의 갯수를 말합니다
AMH 검사는 난소의 갯수를 의미하는것이고
난소의 질과는 관계가 없다고합니다.
(생물학적인 나이가 난소의 질에는 더욱 큰 영향을 줍니다.)
측정 방법:
▶ 혈액 검사:
일반적으로 혈액 검사를 통해 AMH 수치를 측정하며,
주로 생리 주기와 관계없이 안정적인 수치를 보입니다.
★ AMH 정상 수치
연령대AMH 평균수치 (ng/mL)
20~24세 | 4.1~6.9 | 매우 좋음 |
25~29세 | 3.5~6.7 | 좋음 |
30~34세 | 2.5~5.4 | 양호 |
35~39세 | 1.5~3.8 | 감소 시작 |
40~44세 | 0.5~2.2 | 낮음 |
45세 이상 | 0.1~1.0 | 매우 낮음 |
✔ AMH가 높을수록 난소에
남아 있는 난자의 수가 많음을 의미
✔ 35세 이후부터 급격히 감소하며,
40대 이후에는 난소 기능이 급격히 저하
★ AMH 수치별 해석
AMH 수치 (ng/mL)해석
5.0 이상 |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 가능성 있음 (난소 과반응 가능) |
2.0~4.9 | 정상 범위, 건강한 난소 예비력 |
1.0~1.9 | 임신 가능하나 난소 기능 감소 시작 |
0.5~0.9 | 난소 기능 저하, 임신이 어려울 수 있음 |
0.1~0.5 | 난소 예비력 거의 없음, 난임 가능성 높음 |
✔ AMH 1.0 이하
: 난소 예비력이 상당히 감소한 상태이며, 임신이 어려울 수 있음
✔ AMH 0.5 이하
: 자연 임신이 거의 불가능할 수 있으며, 난임 치료가 필요할 가능성이 높음
✔ AMH 5.0 이상
: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 가능성이 있으며, 배란 장애가 있을 수 있음
'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어린이 필수 예방접종 & 선택 예방접종 종류 (1) | 2025.02.13 |
---|---|
2025 육아휴직 급여 인상/ 변경사항 총 정리 (0) | 2025.02.11 |
2025 출산/ 육아 지원금 가이드 (1)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