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비엄마아빠/아기를 기다리는 간절한 마음

노산의 기준 / 연령 별 임신확율은?

by 부모를위한정보 2025. 2. 4.

안녕하세요 베이비엔젤입니다

요즘 여러 사회, 경제, 문화적인 요인으로 인해

대한민국에서 혼인연령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늦게 결혼하는 만큼 출산도 늦어지고 있는게 현실이에요

 

노산의 기준과 연령 별 임신확율 은 어떻게 될까?

 

세계보건기구(WHO) 및 많은 의학 단체에 따르면

노산을 만 35세 이상으로 정의합니다 

(출산일 기준 만35세 이상을 고위험 산모로 봅니다)

 

고위험 산모는 임신과 출산에 따른

합병증 위험이 다소 높아지므로,

보다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연령별 임신율은 일반적으로

한 주기(월경 주기) 당 임신이 이루어질 확률로 측정됩니다.

 

연구에 따르면, 여성의 생물학적 가임력은

나이가 들수록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20대 (20-29세):
    • 가장 높은 가임력을 보이며, 한 주기 당 임신 확률은 약 20~25% 정도입니다.
  • 30대 초반 (30-34세):
    • 약간 감소하여 한 주기 당 15~20% 정도의 임신 확률을 보입니다.
  • 35세 이상 (35-39세):
    • 가임력이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하며, 한 주기 당 임신 확률은 10~15% 정도로 떨어집니다.
  • 40대 (40-44세):
    • 더욱 낮아져 한 주기 당 임신 확률은 약 5~10% 정도로 나타납니다.
  • 45세 이상:
    • 자연 임신 가능성이 매우 낮아지며, 한 주기 당 확률은 극히 낮습니다.

왜 여자 나이만 임신확율에 영향을 주나요?

 

✔  남성은 평생 정자를 지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나이의 영향이 적습니다.

 

남성은 정자형성 과정을 통해 평생 새로운 정자를 만들어낼수 있어요 

(약 3개월마다 새로운 정자가 생성)

 

 

✔   남성과는 다르게 여성은 태어날 때

이미 한정된 수의 난자를 가지고 태어나며,

이 난자는 일생 동안 점차 소모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난자의 수가 줄어들고,

남아 있는 난자의 질도 점차 저하됩니다.

이로 인해 여성의 가임력은

나이가 들수록 급격히 감소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