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만5세-7세 엄마아빠/교육정보

한글 쓰기 언제부터 배우기 시작하면 좋을까요?

by 부모를위한정보 2025. 3. 17.

모국어인 한글, 언제부터 학습적으로 배워야 할까?


한글을 배우는 시기는 아이의 인지 발달, 

언어 발달, 소근육 발달 수준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많은 부모들이 "우리 아이는 언제부터 

한글을 배워야 할까요?"라는 고민을 합니다. 

 

전문가들은 자연스러운 언어 습득 과정과

 학습적인 한글 교육 시기를 구분하여 접근할 것을 권장합니다.

 

한글 학습은 언제부터 시작해야 할까?

 


한글을 학습적으로 배우는 시기는 

아이의 언어 발달 수준과 인지적 준비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언어학자들과 유아교육 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만 5~6세’가 한글 학습을 시작하기에

적절한 시기라고 말합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언어 능력의 발달

만 5~6세가 되면 어휘력이 충분히

발달하여 글자를 이해하고, 문장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듣고 말하는 능력이 

활발하게 발달하며, 글자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것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2. 인지 발달의 성숙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에 따르면,

만 5~6세는 전조작기에서

구체적 조작기로 넘어가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기호(문자)를

 이해하는 능력이 발달하며, 

논리적인 사고가 가능해집니다.

 

3. 소근육 발달과 쓰기 준비

글자를 쓰려면 손가락 근육이 

정교하게 발달해야 합니다.


만 5~6세 무렵이 되면 연필을 잡고 선을 긋거나

, 동그라미와 세모, 네모를 그리는 등의

 운필(운동 기능과 필기 기능) 능력이 발달합니다.

 

따라서, 만 5~6세부터 한글을 본격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글 학습, 단계별로 접근하는 방법

 


한글을 배우는 과정은

듣기 → 말하기 → 읽기 → 쓰기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1단계: 한글을 익히는 첫 단계 (만 3~4세) 

- '노출'이 중요


이 시기에는 ‘학습’보다는 자연스럽게 한글을 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천 활동


✔ 동화책 읽어주기 

→ 반복적인 노출을 통해 글자와 소리에 익숙해짐


✔ 한글 노래 듣기 

→ "가나다라" 노래를 부르면서 친숙하게 만듦


✔ 글자 놀이

 → 냉장고 자석 글자 놀이, 카드 맞추기 놀이

주의할 점

아직은 학습적으로 가르치기보다는 

흥미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억지로 글자를 외우게 하거나, 

반복적인 쓰기 연습을 강요하면 

한글에 대한 흥미를 잃을 수 있습니다.


2단계: 한글 읽기 시작 (만 5세 전후)

- '문자' 인식하기


이제 본격적으로 한글을 읽는 연습을 할 수 있습니다.

추천 활동


✔ 글자와 소리 연결하기

 → "ㄱ은 기역, 가, 거, 고" 같은 방식으로 소리와 글자를 매칭


✔ 간단한 단어 읽기

 → ‘엄마’, ‘아빠’, ‘강아지’ 등 쉬운 단어부터 시작


✔ 재미있는 읽기 놀이

 → 낱말 카드 찾기, 글자 퍼즐 맞추기

 주의할 점

아이마다 속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조급하게 강요하지 않기


정확한 발음을 강조하기보다는

 재미있게 읽도록 유도


 3단계: 한글 쓰기 시작 (만 5~6세)

- '쓰기'는 신중하게 접근


글 쓰기는 만 5세 이후부터

천천히 시작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유는?
✏️ 쓰기는 손 근육(소근육)이 충분히 발달해야 가능합니다.
✏️ 글자 쓰기는 읽기보다 훨씬 어려운 활동이므로, 억지로 시키면 거부감이 생길 수 있음
✏️ 먼저 읽는 능력이 충분히 발달한 후, 쓰기를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추천 활동
✔ 선 긋기 연습

 → 직선, 곡선, 동그라미 그리기부터 시작


✔ 글자 따라 쓰기 

→ ‘ㄱ, ㄴ, ㄷ’부터 따라 쓰기 연습


✔ 낱말 쓰기 놀이

 → 아이가 좋아하는 단어(예: ‘사과’, ‘토끼’)를 써보기

주의할 점

억지로 많이 쓰게 하지 말고, 하루 10~15분 정도만 연습
아이가 스스로 글자를 쓰고 싶어 할 때 자연스럽게 유도

 

한글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
'강요하지 말 것'

 

 

 한글 교육은 아이가 준비되었을 때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잘못된 한글 교육 방식

"왜 이것도 못 써?"라며 강요하기
쓰기 연습을 무조건 반복시키기
흥미 없이 단순한 문제집만 풀게 하기


 올바른 한글 교육 방식

아이가 재미있게 배울 수 있도록 다양한 놀이 활용
쓰기보다 먼저 읽는 능력을 충분히 기르기
칭찬을 아끼지 않고, 실패해도 긍정적으로 격려하기

 

연령 학습방식 목표
만 3~4세 노출 & 놀이 중심 글자와 소리에
익숙해지기
만 5세 본격적인 한글
읽기 시작
단어 읽기 가능
만 5~6세 쓰기 연습 시작 간단한 글자
쓰기 가능

 

핵심 정리


✔ 한글 학습은 만 5~6세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것이 적절


읽기가 먼저, 쓰기는 나중

→ 손 근육이 발달한 후 글자를 쓰는 것이 효과적


✔ 놀이 중심으로 한글을 접하게 하고,

억지로 가르치지 않는 것이 중요

 

 한글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재미있게 배우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너무 빨리 가르치려 하지 말고,

아이의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천천히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