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생아 엄마아빠/신생아 발달과정

유아교사가 알려주는 6개월에서 12개월 영아 발달 과정

by 부모를위한정보 2025. 2. 12.

안녕하세요 베이비엔젤입니다. 

영아의 생후 6개월부터 12개월까지는

신체적, 인지적, 언어적, 사회정서적 발달

격히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의 발달 과정은

아이가 환경과 상호작용하고

독립적인 행동을 시도하는 기반을

마련하는 단계로 볼 수 있습니다.

 

각 영역별로 6개월에서 12개월 영아가

어떠한 발달 과정을 거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체 발달 (Motor Development)


(1) 대근육 발달 (Gross Motor Development)

 

생후 6개월부터 12개월까지의 시기는

영아가 몸을 자유롭게 움직이고 

독립적인 이동을 시작하는 단계입니다.

6~7개월:
혼자 앉을 수 있으며, 앉은 상태에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배밀이를 시작하며 팔과 다리를 이용해 몸을 전진시킨다.


8~9개월:
손과 무릎을 이용한 네발 기기(Crawling)가

 본격적으로 나타난다.
가구를 잡고 일어서려는 시도를 한다.


10~12개월:

가구를 붙잡고 이동하는 ‘가구 잡고 걷기’가 가능해진다.
손을 잡아주면 보행 시도를 하며, 

일부 영아는 12개월 무렵 독립적으로 걷기 시작한다.


(2) 소근육 발달 (Fine Motor Development)
소근육 발달은 손과 손가락을 

이용한 정교한 움직임과 눈

과 손 협응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6~7개월:

손으로 물건을 잡고 한 손에서 다른 손으로 옮긴다.
장난감을 잡기 위해 팔을 뻗으며, 입으로 가져가 탐색한다.


8~9개월:
엄지와 검지를 사용하여

작은 물체를 잡는 ‘핀셋 잡기’ 능력이 발달한다.


손가락을 이용해 간단한 조작

(예: 블록 쌓기 시도)을 할 수 있다.


10~12개월:
컵을 양손으로 잡고 마실 수 있으며, 

숟가락을 이용한 섭식 시도를 한다.


작은 장난감을 정확하게 집어 올리고, 

던지거나 놓을 수 있다.

인지 발달 (Cognitive Development)

 

 


인지 발달은 아이가 세상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피아제(Piaget)의 감각운동기 후반 단계에 해당합니다.

(1) 대상 영속성 (Object Permanence) 형성
생후 6~8개월: 눈앞에서 사라진 물건이 

계속 존재한다는 개념을 조금씩 이해하기 시작한다.


9~12개월: 물체가 가려져도 계속 찾으며, 

대상 영속성이 확립되기 시작한다.


(2) 인과 관계 이해
장난감을 떨어뜨리면 다시 주워달라고 요구하며, 

반복하는 행동을 통해 원인과 결과를 학습한다.


간단한 문제 해결 능력이 발달하며, 

예를 들어 장난감이 가려져 있으면 스스로 치우고 찾는다.


(3) 모방 학습과 기억력 발달
부모의 행동을 관찰하고 

흉내 내며 학습하는 모방 행동이 증가한다.


반복적인 놀이(예: ‘까꿍 놀이’)를 즐기며 

패턴을 기억하고 예측하는 능력이 향상된다.

 

언어 발달 (Language Development)

 

 

언어 발달은 음성 및 비언어적 표현을 포함하며, 

영아는 이 시기에 본격적으로 의사소통 능력을 키웁니다.

(1) 옹알이 (Babbling) 발달


6~7개월:

 자음과 모음을 결합한 옹알이

(예: ‘바바’, ‘다다’)가 나타난다.


8~9개월

의미 없는 반복적인 소리를 내며, 

부모가 반응할 경우 대화처럼 반응한다.


(2) 첫 단어 (First Words) 발화


9~12개월:

 ‘엄마’, ‘아빠’ 등의 단어를 말하기 시작하며,

 간단한 요청(예: “안돼”)을 이해할 수 있다.


12개월 이후: 

1~2개의 단어를 실제 의미와

 연관 지어 사용하기 시작한다.

 

(3) 제스처와 비언어적 의사소통


손짓(예: ‘빠이빠이’), 손가락으로 

가리키기 등의 행동을 통해 의사소통을 시도한다.


부모의 말에 반응하며 간단한 지시

(예: “공 가져와”)를 이해할 수 있다.

사회성 및 정서 발달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이 시기의 영아는 애착 형성이 중요한 시기로,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기술이 점진적으로 발달합니다.

(1) 애착 형성 (Attachment Formation)
6~8개월: 

부모와 주 양육자에게 강한 애착을 보이며, 

낯선 사람에 대한 경계를 보이는 ‘낯가림’이 나타난다.

 

9~12개월: 

부모가 보이지 않으면 불안해하는

‘분리불안’이 증가하며, 특정 인물과의 유대가 강화된다.

 

(2) 감정 표현과 공감 능력 발달
기쁨, 슬픔, 좌절 등의 감정을 표정과 몸짓을 통해 표현한다.
부모의 감정을 관찰하고 모방하며, 

타인의 감정을 인지하기 시작한다.


(3)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
9개월 이후에는 또래에게 관심을 보이며,

 함께 있는 것 자체를 즐긴다.


12개월 무렵에는 다른 아이의 행동을 모방하며,

 간단한 사회적 놀이(예: 공 주고받기)에 참여할 수 있다.

생후 6~12개월 영아 발달의 중요성


이 시기는 신체적 움직임의 발전뿐만 아니라, 

인지, 언어, 사회적 기술이 급격히 발달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아이가 탐색하고 실험할 수 있도록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며,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언어 및 사회성 발달을 촉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울대학교 육아정책 연구소연구에 따르면,

부모의 반응성이 높은 양육(Responsive Parenting) 은

언어 발달과 사회적 관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이 시기의 영아와 적극적으로 교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겠죠??